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HC
- 유전공학의기초
- Expasy
- 미생물학실험
- Eztaxon
- 체액성면역
- 식물영양학
- 낙농식품미생물학
- 환경생명화학
- BLaST
- 단백질구조
- 기능성식품과면역학
- Swissprot
- Bcell
- 생물정보학
- 미생물학
- 미생물의생장
- EC number
- 면역학정리
- consensus sequence
- 적응면역
- primer design
- phylogenetic tree
- gene cloning
- 원핵생물
- 면역학
- Average Nucleotide Identity
- 내재면역
- NGS
- 자가항원
- Today
- Total
목록환경생명화학 (9)
Self Love is the Best Love
Ch11 지방산의 합성: stroma of the plastid, 지방산의 변형: cytoplasm and on the ER Strategies for protein production - Stable expression: 우리가 원하는 유전자를 생명체 genome에 삽입 (형질 전환) - Transient expression: 임시로 발현시킴. 유전자 총을 이용. 형질전환과 다름. Trichosanthin 식물 tuber의 구성 요소. Tumor 성장을 억제하고 면역 작용을 함.

Ch 10 Dry-matter portioning? 작물을 말려서 partition을 관찰 함. 관찰하면서 광합성 산물이 어디에 있는지 본다. Antisense ethylene? Ethylene은 노화를 촉진하는 호르몬임. Antisense ethylene은 에틸렌의 활동을 억제시켜 과일의 숙성과 노화를 지연시킴. Golden rice? 기존의 쌀에서 비타민 A의 함량을 높인 쌀. 비타민 A를 합성하기 위해 필요한 베타 카로틴은 식물 채 내에서 합성하기 위해 단일 박테리아 유전자에서 효소를 찾아 IPP에서 Lycopene을 거쳐 베타 카로틴을 합성하게 됨. Engineering plant protein composition for improved amino acid nutrition? 곡물 작물을 종종 ..
Ch 9 Turgor (pressure) potential? Concentration of solute, osmotic potential과 합쳐져서 water potential을 이룬다 Osmotic (solute) potential? Physical pressure of the cell or tissue boundary, turgor potential과 합쳐져서 water potential을 이룬다. Osmolyte or osmoprotectant? 삼투압을 낮추기 위해 식물이 만드는 무독성의 화합성 물질 (compatible solute).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설탕 또는 당 알코올이고 나머지 하나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이다. Heat shock protein? 식물이 더위, 추위, 자외선 상처..
Ch 8 Hyperplasia? 식물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도되는 지나친 세포 분열, 세포 확대. How has industry dealt with viruses? 1. 농약 처리, 바이러스를 control하지는 못 하지만 이를 옮겨주는 매개체인 곤충을 없애서 더 이상의 확산을 방지함. 2. Cross-protection. 약한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식물에 미리 감염시켜 저항성 키운다. 3. 무균상태에서 키운 후 식물체를 생산한다. Viral movement protein? 바이러스가 전신 감염이 될 때 plasmodesmata pore와 vascular tissue를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이동을 하는데, plasmodesmata pore는 바이러스가 통과하기엔 작아서 이동을 도와주는 단백질이 ..
Ch 7 Plant pathogen은 host인 식물을 죽인다. (X) Beneficial 한 pathogen도 있다. Pathogen이 식물에 감염되어 localized death of an organ을 유발하는 데 이를 blight라 한다. (X) Canker Blight: 잎이 떨어지는 것 PR protein? Pathogen related protein. 바이러스나 균의 침입에 대하여 식물이 반응하여 만든 단백질. 1. 세포벽 수리 2. 2차 대사 산물의 효소 3. 렉틴 Elicitor response? In plant cellular response to pathogen attack, what are endogenous elicitors and exogenous elicitors? 식물의 세포벽..
ch6. pest에 저항성 있는 작물을 만드는 방법 1. Bacterial insecticidal gene 사용 2. Endogeneous plant protection mechanism 사용 ‘High dose/refuse’ approach 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High dose 생성해야 저항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homozygote 저항성 유전자가 있는 곤충만 살아남는다. 저항성 유전자가 없는 유전자를 지닌 (rr) 곤충을 다수로 만들어서 다음 세대 곤충은 저항성을 없게 만든다. (Rr) The ‘Copy Nature’ strategy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해충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천연 식물 2. 독성 단백질 정제 3. 인공적 식단에 대한 생물 평가 (곤충에게 먹여 본다 ➝ 해롭다)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