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환경생명화학
- 체액성면역
- 원핵생물
- primer design
- 면역학정리
- 낙농식품미생물학
- 기능성식품과면역학
- 생물정보학
- EC number
- 미생물학
- BLaST
- gene cloning
- Bcell
- Eztaxon
- 미생물학실험
- phylogenetic tree
- Swissprot
- 식물영양학
- 자가항원
- consensus sequence
- Average Nucleotide Identity
- Expasy
- NGS
- 적응면역
- 미생물의생장
- 유전공학의기초
- 내재면역
- MHC
- 단백질구조
- 면역학
- Today
- Total
Self Love is the Best Love
환경생명화학 기말고사 4 본문
Ch 9
Turgor (pressure) potential?
Concentration of solute, osmotic potential과 합쳐져서 water potential을 이룬다
Osmotic (solute) potential?
Physical pressure of the cell or tissue boundary, turgor potential과 합쳐져서 water potential을 이룬다.
Osmolyte or osmoprotectant?
삼투압을 낮추기 위해 식물이 만드는 무독성의 화합성 물질 (compatible solute).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설탕 또는 당 알코올이고 나머지 하나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이다.
Heat shock protein?
식물이 더위, 추위, 자외선 상처 치료 등의 스트레스 받을 때 생성되는 단백질. 새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folding이 제대로 이뤄지게 도와준다.
Reactive oxygen species (ROS) ?
활성산소, 오존 오염 또는 정리 방사선의 결과에 의해 가장 직접적으로 발생한다. 여러 유형의 스트레스에 의한 병원균 공격에서 물 부족 스트레스에 이차적으로 영향을 준다.
Expression of enzymes involved in scavenging ROS?
2 •O2- + 2H+ ㅡ(SOD) O2 + H2O2
Superoxide dismutase가 두개의 수소 이온을 결합하여 산소와 과산화수소를 형성한다.
Drought stress에 저항성을 갖는 식물을 만들기 위해서 어떠한 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하면 좋을까?
SOD의 생성 증가시키는 유전자
Heat shock protein 생성 유전자
'20202 > 환경생명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생명화학 기말고사 6 (0) | 2021.08.14 |
---|---|
환경생명화학 기말고사 5 (0) | 2021.08.14 |
환경생명화학 기말고사 3 (0) | 2021.08.14 |
환경생명화학 기말고사 2 (0) | 2021.08.14 |
환경생명화학 기말고사 1 (0) | 202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