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 Love is the Best Love

Ch11. Hypersensitivity 본문

20202/면역학

Ch11. Hypersensitivity

퍼플양 2021. 8. 14. 05:02
728x90

Hypersensitivity reactions: 원치 않는 반응이 일어나는 것

 

Types of hypersensitivity reactions

What are the major types of hypersensitivity reactions?

     Type I: 즉시과민반응

-         Th2 cell, IgE, mast cell, eosinophils, cytokine

-         알레르기, 아토피

-         , 음식 알러지, 천식, 아낙필락시스

What is the sequences of events in a typical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

-         과정: 알레르기 항원에 1 노출 (꽃가루, 어떤 음식 ) ➝ Th2 활성화 (IL-4, IL-13 분비) ➝ B cell IgE class isotype switching ➝ igE 생산 ➝ IgE 비만세포의 FcɛRI 결합 알레르기 항원에 2 노출 비만세포의 활성: 매개체 분비 혈관활성 아민, 지질 매개체 (즉시 과민반응. 비만세포, 혈관 확장, 부종 ) / 사이토카인 (후기 반응. eosinophil)

과립세포의 배출 지질 매개체 (아라키돈산 대사 산물) 사이토카인
혈관성 아민
(히스타민)
proteases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사이토카인
TNF
혈관 확장,
평활근 수축
조직 손상 혈관 확장 평활근 수축 염증

-         Eosinophil: 양이온과립단백질 분비 (기생충 숙주세포의 사멸) / 효소 (조직 손상)

-         임상적 증상과 징후, 치료법

임성적 증상 징후 치료법
알레르기성 점액분비의 증가  
음식물 알레르기 위장 근육 수축으로 인한 연동 운동의 증가  
기관지 천식 기도 폐쇄 스테로이드 계통
아나필락시스 혈관 확장, 혈압 감소 (쇼크) 에피네프린

 

     Type II: 항체 매개 과민반응 조직 손상

-         세포 표면 또는 세포외 기질 항원에 대한 IgM, IgG 항체

-         보체와 Fc수용체에 의해 백혈구를 불러들이고 활성화됨. 옵소닌화와 세포의 포식 작용 진행. 호르몬 수용체 신호 전달과 같은 세포 기능의 비정상을 유발.

 

     Type III: 면역 복합체에 의한 과민반응 혈관염

-         혈관 기저막에 침착된 IgM, IgG 항체와 순환하고 있는 항원들 간의 면역 복합체

-         보체와 Fc수용체에 의해 백혈구를 불러들이고 활성화됨

 

     Type IV: T cell 매개 과민반응

-         CD4+ T cellmacrophage 활성화, 사이토 카인에 의한 염증 유발

-         CD8+ CTLs에 의해 표적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용해가 일어나며, 사이토카인에 의한 염증이 일어남.

 

  antibody T cell
  Type I Type II Type III Type IV
항원 수용성 항원 세포 표면, 세포 외 기질 항원 수용성 항원 수용성 항원
항체 IgE IgG, IgM Th1, Th2, Tc cell
작용 기전 비만세포, 보체 활성화 보체, 포식세포 활성화 대식세포, 세포 독성

Diseases caused by T cell

-         사이토카인 매개성 염증: CD4+, T cell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이 큰포식세포와 염증세포들을 활성화시켜 조직 손상을 일으킴.

-         T cell을 매개로 한 숙주 세포의 사멸: CD8+ CDL이 직접 죽인다.


 

Therapies for inflammatory diseases

'20202 > 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13. Functional food and immune response  (0) 2021.08.16
Ch12. Food allergy  (0) 2021.08.16
Ch10. Immunity to Tumors  (0) 2021.08.14
Ch9. Immunology Tolerance and Autoimmunity  (0) 2021.08.14
Ch8. Effector Mechanisms of Humoral Immunity  (0) 2021.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