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단백질구조
- 생물정보학
- 유전공학의기초
- 자가항원
- Eztaxon
- NGS
- Average Nucleotide Identity
- 미생물학실험
- 체액성면역
- 내재면역
- 기능성식품과면역학
- Bcell
- Swissprot
- gene cloning
- phylogenetic tree
- 미생물학
- 낙농식품미생물학
- 면역학
- primer design
- 적응면역
- 식물영양학
- consensus sequence
- 미생물의생장
- EC number
- BLaST
- MHC
- 면역학정리
- Expasy
- 환경생명화학
- 원핵생물
- Today
- Total
Self Love is the Best Love
Ch8. Effector Mechanisms of Humoral Immunity 본문
Effector function of antibodies
B cell + microbes | antibody | Phagocyte | 1. Neutralization of microbes and toxins |
Fc receptor | 2. Opsonization and phagocytosis of microbes | ||
NK cell | 3. Antibody-dependent cellular microbes | ||
4. Complement system | C3b receptor |
Lysis of microbes | |
Phagocytosis of microbes opsonized with complement fragments | |||
Inflammation |
IgG | 신생아 면역, B cell 활성의 되먹임 저해 |
IgM | 보체의 고전 경로 활성화 |
IgA | 점막 면역 |
IgE | 기생출에 대한 방어 |
1. Neutralization of microbes and microbial toxin (항체가 있을 때 host cell의 반응)
- 항체가 상피 장벽을 통한 미생물의 침투를 막음
- 항체가 숙주세포에 대한 미생물의 결합과 감염을 막음
- 항체가 인접 세포의 감염을 막음
- 항체가 세포 수용체에 대한 독소의 결합을 막음
2. Opsonization and phagocytosis
How do antibodies assist in the elimination of microbes by phagocytes?
- IgG에 의한 미생물의 옵소닌화 ➝ 옵소닌화된 미생물 + phagocyte의 FcɣRI 결합 ➝ Fc receptor 신호가 phagocyte 활성화 ➝ 미생물의 phagocytosis ➝ 섭취된 미생물 죽임
- 옵소닌: 항원과 결합한 보체나 항체에 대한 수용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항원 인식을 도와주는 물질
- 옵소닌화: 옵소닌이 항원에 결합하는 것
Antibody-mediated opsonization and phagocytosis of microbes.
Fc receptor | Cell distribution | Function |
FcɣRI | Macrophage, neutrophils, eosinophils |
Phagocytosis |
FcɣRIIA | ||
FcɣRIIB | B lymphocytes | B cell 반응 저해 |
FcɣRIIIA | NK cells | IgG와 항원이 결합하면 NK cell이 FcɣRIIIA를 통해 이를 인지해 항체로 덮인 세포의 사멸 유도 ➝ perforin, granzyme. |
FcɛRI | Mast cells, basophils, eosinophil |
호산구의 FcɛRI = IgE의 Fc receptor. Th2가 분비한 IL-5는 호산구의 기생충 사멸 능력을 상승시킴. |
3. 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iy (ADCC)
- IgG와 항원이 결합하면 NK cell이 FcɣRIIIA를 통해 이를 인지해 항체로 덮인 세포의 사멸 유도 ➝ perforin, granzyme.
4. The complement system
Early step | Alternative Pathway (대체 경로) | Innate immunity |
Classical Pathway (고전 경로) | Adaptive immunity | |
Lectin Pathway (렉틴 경로) | Innate immunity | |
Late step | Inflammation, Lysis of microbes |
How is the complement system activated?
What are the functions of the complement system, and what components of complement mediate these functions?
① Alternative Pathway (대체 경로)
: C3가 가수분해 ➝ C3b + C3a 생성
가수분해된 C3b가 미생물의 막에 결합하고 Factor B는 C3b를 인식하여 결합함 (C3b + B)
Factor D가 B를 분해 ➝ Ba와 Bb 생성 ➝ Ba는 떨어지고, Bb만 C3b와 결합 (C3b + Bb)
C3b + Bb = C3 convertase ➝ C3를 C3a + C3b로 분해
C3b + Bb + 3b = C5 convertase ➝ C5를 분해해 보체 활성화의 후기 단계 개시
- C3a: 염증 자극
- C3b: 미생물 표면에 결합해서 옵소닌 및 C3, C5 전환 효소의 한 가지 구성 성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 Factor B: Bb는 세린 단백질분해효소이며, C3, C5 전환 효소의 활성 효소이다.
- Factor D: C3b에 결합할 때 Factor B를 분해하는 혈장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
② Classical Pathway (고전 경로)
: IgM or IgG 항체가 항원과 결합
Ig의 Fc region은 C1 보체 단백질에 결합한다.
C1은 C4와 C2를 C4b, C2a로 분해한다.
C4b + C2a = C3 convertase ➝ C3를 C3b와 C3로 분해
C4b + C2a + C3b = C5 convertase ➝ C5 분해 ➝ 보체 활성화의 후기 반응 진행
③ Lectin Pathway (렉틴 경로)
: MBL이 미생물과 결합 ➝ C1이 붙음
C1은 C4와 C2를 C4b, C2a로 분해한다.
C4b + C2a = C3 convertase ➝ C3를 C3b와 C3로 분해
C4b + C2a + C3b = C5 convertase ➝ C5 분해 ➝ 보체 활성화의 후기 반응 진행
- C1: C1r과 C1s는 C4와 C2 활성을 유도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
- C4a: 염증 자극
- C4b: C1s에 의한 분해를 위해 C4b가 C2에 결합한다.
- C2a: C3 및 C5 전환 효소의 활성효소로서 기능을 하는 세린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
- MBL: 렉틴경로 개시. C4와 C2를 활성화시킴.
④ Late step
Function of the complement system
1. Opsonization
: 미생물에 대한 C3b의 결합 (옵소닌화) ➝ 포식세포 C3b 수용체가 결합된 C3b를 인식 ➝ 미생물 포식작용과 사멸
2. cell lysis
: 미생물에 대한 C3b의 결합, 보체의 후기 구성성분들의 활성 ➝ 막공격복합체(MAC) 형성 ➝ 미생물의 삼투성 용해
3. inflammation phagocytosis
: C3a, C4b, C5a를 방출하기 위한 C3, C4, C5의 단백질가수분해 ➝ C5a, C3a, C4에 의한 백혈구의 보충 및 활성화 ➝ 미생물의 삼투성 용해
Regulation of complement activation
혈장 단백질 | 막 단백질 | ||
C1 inhibitor | C1 세린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 저해 | Membrane cofactor ptn | C3b와 C4b의 Factor1-매게성 분자를 위한 보조 인자 |
Factor I | C3b와 C4b를 단백질분해함 | ||
Factor H | 대체경로 C3 전환효소 소단위의 분해를 일으킴 | Decay accelerating factor | C3 전환효소 형성 막음 |
C4 binding ptn | 고전경로 C3 전환효소 소단위의 분해를 일으킴 | CD59 | C9 결합을 막고 MAC 형성 억제 |
Function of antibodies at special anatomic sites
1. 점막 면역: IgA 이량체
2. 신생아 면역: 모유수유
3. Vaccination
'20202 > 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10. Immunity to Tumors (0) | 2021.08.14 |
---|---|
Ch9. Immunology Tolerance and Autoimmunity (0) | 2021.08.14 |
Ch7. Humoral Immune Responses (0) | 2021.08.14 |
Ch4. Antigen Recognition in the Adaptive Immune system (0) | 2021.08.14 |
Ch2. Innate Immunity (0) | 202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