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verage Nucleotide Identity
- 내재면역
- 원핵생물
- NGS
- phylogenetic tree
- 생물정보학
- 미생물학실험
- 환경생명화학
- 미생물학
- 체액성면역
- consensus sequence
- 면역학
- EC number
- Bcell
- 적응면역
- gene cloning
- MHC
- 미생물의생장
- 식물영양학
- primer design
- Eztaxon
- 기능성식품과면역학
- Expasy
- 면역학정리
- Swissprot
- 유전공학의기초
- 낙농식품미생물학
- BLaST
- 단백질구조
- 자가항원
Archives
- Today
- Total
Self Love is the Best Love
1. 미생물의 세계 본문
728x90
1. 미생물의 중요성
: Micro + Organism
( + ) | ( - ) |
- 분해자 ➝ 물질의 순환 - 산소 생성 ( 광합성 ) - 자연 환경의 균형 유지 |
- 병원성 ➝ 피해 |
- 생명체로서 미생물의 특징
• 성장을 위한 영양분의 흡수, 소화, 배설
• 독립적 생식 ( 유전 정보를 가짐 )
•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자극에 대한 반응
2. 미생물의 기원
: 여러 실험을 통해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발생 할 수 없음을 증명
3. 미생물의 종류
: 매우 다양, 대부분의 지구 환경에 거주함.
Bacteria | - 다양한 모양, 서식지 - 10µm |
Virus | - 다양한 모양, 서식지 Ex) Coronavirus등 |
Protozoa 원생동물 |
- Bacteria, Virus와 구조적으로 다름 - Nuclei, Ultramicroscopic Cellular body - 아메바, 아프리카 수면병, 인간 설사병, 집신벌레 |
Algae | - 광합성 하는 유기체 - Photosynthetic pigment but unicellular - Diatoms 규조류, Dinoflagellates쌍편모조류 - fresh water << marine environment - sunlight ➝ carbohydrates’ energy - (-) CO2, (+) O2 >> plant |
Fungi | - 지구의 주요 유기물의 분해자 - 영양분을 흡수하는 방법, 물리적 구조가 다른 미생물과 구분됨. - 효소를 분비해 물질 분해, 입자 흡수 |
4. 미생물 분류 및 명명법
- Binominal name (이명법)
• Genus + 설명적 형용사
•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
• 항상 이탤릭체 or 밑줄
• 중복 사용시 첫 글자만 대문자
Ex) Escherichia coli ➝ E. coli
• Subspecies는 이탤릭체x
Ex) Escherichia coli O157:H7
- 3 domains
Prokaryotes | Eukaryotes | |
Eubacteria 진정세균 |
Archea 원시세균 |
Eukarya 진핵생물 |
차이점? - Ribsome 내의 RNA 형태가 다름 - 세포벽의 구성 성분 Eubacteria) peptidoglycan Archea) seudo-peptidoglycan - 특정 항생 물질에 대한 민감성 |
- Nomenclature (명명법)
: Species종 > Genus속 > family과 > order목 > class강 > phylum문 > division류 > kingdom계 > Domain
- Species
• 가깝게 연관된 개체
• 미생물에서 70% identical of DNA
- 현미경
• 고배율의 경우 immersion oil 사용 ➝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 ↑
Fluorescence microscope 형광 현미경 |
Electron Microscope (EM) 전자 현미경 |
- Transmission EM (TEM) - Scanning EM (SEM) |
'20211 > 낙농식품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농식품미생물학 중간고사 2 (0) | 2021.08.13 |
---|---|
낙농식품미생물학 중간고사 1 (0) | 2021.08.13 |
3. 미생물의 영양 및 생장 (0) | 2021.08.13 |
2. 미생물의 구조 (0) | 2021.08.13 |